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로페이 사용법 및 가맹점, 혜택, 온누리상품권 구매 방법 총정리

by 시에스터 2022. 1. 8.

제로 페이에 대해 다들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제로페이가 도입된 지 무려 3년이 지났다고 하는데요. 제 경우에는 제로페이를 들어봤지만 써본 적은 없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로페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로페이

제로페이는 2018년에 서울에서 처음으로 시범 도입되었고, 현재는 전국으로 가맹점을 늘려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로페이가 도입된 초기 목적이 가맹점의 수수료 부담을 줄여주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그래서인지 상시 근로자 수 5인 미만, 연 매출액 8억 이하인 가맹점의 경우 수수료가 '0%'라고 합니다. 

 

그럼 이러한 제로페이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제로페이 사용법

 

제가 기존에 썼던 글 중 울산페이의 경우 자체 어플을 통해서만 결제가 가능했었는데요. 제로페이의 경우에는 자체적인 어플뿐 만 아니라 여러분이 많이 이용하시는 은행어플 혹은 간편결제 어플들을 활용하여 결제를 합니다.

울산페이 발급 및 사용 방법 가맹점 (울산페이 총정리)

 

▶은행어플 목록

우리은행, 신한은행, 경남은행, 리브메이트(국민은행), 썸뱅크, i-One Bank, 케이뱅크, 우체국페이(우체국), 하나원큐(하나은행), 전북은행, 광주은행, 수협

 

▶간편결제어플 목록

제로페이 사용법 결제앱 목록

 

 결제방법 및 가맹점 찾기

 

시럽 앱의 경우 우선 결제할 계좌를 연결해주고, '결제하기'를 누른 후 아래 사진의 QR을 직원에게 보여주거나, 제로페이 QR을 직접 찍은 후 금액을 입력해서 결제를 해도 됩니다. 

 

시럽앱의 경우에는 바로 들어가지는 것이 아니라 [금융상품]-[제로 페이 상품권]을 누르고 상품권 결제 후 결제를 이용할 수 있어 불편하네요. 차라리 비플제로페이를 까신 후에 사용하시는 게 더 편할 것 같습니다.

 

여기서는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서울사랑 상품권 등을 구매하신 후 이용하실 수도 있고 그냥 은행계좌 연결 후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온누리모바일상품권의 경우 10% 할인된 금액에서 구매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플제로페이_사용방법
비플제로페이 사용법

 

가맹점 또한 위의 사진 가맹점 찾기로 들어가시면 찾을 수 있습니다. 

 

 혜택

 

혜택은 가맹점의 경우는 수수료 무료, 가입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점이 있습니다.

 

소비자의 경우 우선 온누리상품권을 구매 시 사용하게 되면 1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30%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 40% 공제를 해주었는데 결국 나중에는 30%로 소득공제혜택을 줄여버렸습니다. 사실 소득공제 혜택의 경우 체크카드나 현금을 사용해도 30%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크게 메리트가 있는 것은 아닌 것 같지만..

10% 할인받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좋은 혜택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다만 아쉬운 점은 대형마트에서는 이용이 힘들다는 점입니다. 

 

 

 온누리상품권 구매

매월 100만원까지 할인 구매가 가능하며, 잔여 할인 한도에 따라 자동 할인이 적용됩니다.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구매일로부터 5년간 사용 가능합니다.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전통시장 및 상점가 내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불 

  • 구매일로부터 7일까지 미사용 상품권에 한해 전액 환불 가능합니다.(할인 지원금 제외)
  • 7일 후부터는 아래 사용률 달성시 할인 지원금 제외 후 잔액 환불됩니다.
    1) 잔액 기준 1만 원 이하 : 사용률 60% 이상
    2) 잔액 기준 1만 원 초과 : 사용률 60% 이상

 

 

 마무리

 

오늘은 제로페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의 경우에는 지역 페이인 울산페이를 가끔 사용하곤 하는데요. 10% 할인혜택이 있다는 점은 좋지만 결제 방식이 불편해서 자주 사용하진 못하게 되는 것 같아요. 제로페이도 울산페이와 결제방식이 비슷해서 불편하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카드를 발급받은 분들은 더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긴 할텐데.. 아무래도 삼성페이처럼 바로 떠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면 더 자주 사용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울산페이 발급 및 사용 방법 가맹점 (울산페이 총정리)

[연말정산3] 신용카드,체크카드 등 소득공제 및 공제율, 활용방법

카이카스 지갑 만드는 방법(PC버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