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2년 주목할 만한 주식 트렌드 (12/09일 삼프로티비 요약)

by 시에스터 2021. 12. 10.

 

<앞으로의 시장은 어떻게 될 것인가>

 

시장의 유동성과 경기 상황에 따라 주식시장에도 4가지 국면(주식시장의 4계절)으로 전환(ft.우라가미 구니오)

1) 금융장세: 유동성이 풀려서 자산가격 오름

2) 실적장세: 유동성이 남아있으면서 경기가 풀렸을 때

3) 역금융장세 : 경기는 살아있으면서 인플레 걱정으로 돈을 빼기 시작

4) 역실적장세: 돈이 빠지며 경기까지 함께 꺾기는 때

 

-현재 시장의 모습 : 실적장세의 중후반 모습 -> 최근 박스권에서 머무는 모습을 많이 보여줌 -> 이러한 상황은 과거에서도 볼 수 있음

 

-현재 시장 상황의 시작은 테이퍼링이라고 할 수 있음

(1) 과거 경험을 보면 테이퍼링을 했을 때 신흥국(재무구조가 취약한 나라)이 많이 흔들리는 모습

(2) 현재 재무구조 취약한 나라는 터키임-> 터키의 위기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까 라는 의문은 들지만 과거 그리스의 위기가 유럽 전체로 퍼졌던 것처럼 터키의 위기 또한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계의식을 가짐

 

+ 그와 함께 헝다그룹 파산 위기 상황은 과거 그리스의 모습을 연상 시킴.

 

 

- 부장님의 주변 투자자들은 오히려 2012-2013년 실적장세(지수만 봤을 때 힘든 상황)에서 많은 돈을 벌었음, 그 이유가 무엇인지 요약해놓은 책: 미스터 마켓

 

-2012년을 복습해보자 : 6년간 박스권 장세

(1) 중국 소비재 - 코스맥스 : 당시 주가 15000원대에서 56000원까지 270% 상승

 

(1) 중국 소비재 - 파라다이스 : 외국인 카지노 기업

2012년 전까지는 대표적인 경기방어주 -> 큰 성장도 없지만, 꾸준한 수요가 있기 때문에

 

 

*당시 시장에서 가장 주목했던 포인트: 중국 소비재

당시 경기가 제일 좋았던 중국에서 중산층 증가 -> 중산층이 원하는 무언가에서 히트상품이 나옴 -> 이를 바탕으로 기업들의 매출 증가 + 벨류에이션 증가

 

=> 이를 바탕으로 알 수 있는 것: 실적장세에서의 특징은 소비 주체의 변화(정부주도 소비-> 민간가계주도 소비)

**내년에는 소비의 주체가 바뀔 것이다 (정부주도에서 민간주도로 변화)

 

추가설명: 2020-2021년은 기업 실적이 안좋아서 정부가 주로 보조금지원등을 통해서 돈을 풀었음(전기차보조금 등)

정부가 주로 돈을 풀었던 업종의 주가가 좋았음(전기차)

but. 이제는 정부가 돈을 풀기 어려운 상황 , 즉 내년에는 소비 주체의 변화가 생길 것

 

그럼 구체적으로 민간주도인데, 그 중 어디일까 : 2012년에는 중국이라면 내년은 미국

 

 

 

 

(2) 새로운 플랫폼(모바일 게임) - 컴투스

스마트폰의 보급(2010년부터 한국에 본격적으로 보급)

2012년 이전에는 스마트폰 부품주 위주의 랠리 -> 이후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게임주 랠리

 

시장규모를 보면 2011년- 2014년 급격한 상승 -> 스마트폰 보급율에 1년 후행

=> 컴투스뿐만아니라 모바일 게임이라는 카테고리가 생겨나던 때

 

 

(3) 신성장산업(바이오) - 코오롱생명과학

 

(3) 신산업성장(바이오) -메디톡스

 

 

***요약

 

 

2022년 주목할 만한 트렌드

당시 싸이 테마주로 말도 안되는 시세를 보임

 

 

이러한 bts에 대한 관심이 bts에서 끝나지 않고, 다른 아티스트들도 확신이 되면 -> 섹터에 대한 이슈로 확대

 

많은 그룹들이 빌보드 차트에 진입하는 중 -> 케이탑 전반으로 관심이 확산하는 중

 

과거는 아시아권을 공략했다면 이제는 서양의 소비자를 공략하는 레벨에 진입

 

 

 

이전에는 편성에 들어갈 수 있는 작품 수가 제한이 있었음.

ott가 생기면서 콘텐츠가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 증가

 

TV 방송의 경우 배우 캐스팅비용 등에 많은 제작비가 들어감

 

ott의 경우 탑배우가 아니더라도 주연을 차지하는 경우가 있는데 (스위트홈의 경우도 송강은 당시 신인배우) -> 탑배우보다 캐스팅 비용이 저렴, 상대적으로 제작사가 가져가는 수익이 늘어남

 

VFX 기업들에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음

 

 

바템업리서치 중요

제작사 중 넷플릭스 콘텐츠와 관련있는 기업들을 계속 찾아다니고, 관심가지는 것 (발품팔아서 찾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