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 전만 해도 전기차를 타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는데요. 요즘은 거리를 지나가다보면 많은 전기차를 발견하곤 합니다. 정부에서도 전기차 보급을 위해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고요. 오늘은 전기차 보조금 계산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 보조금은 예산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신청한다고 다 받으실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선착순으로 지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먼저 지역별로 보조금 현황을 확인하신 후에 신청하시는 게 좋습니다.
보조금 지원대상
- 중앙행정기관을 제외한 개인, 법인,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지방공기업 등
- 국고보조금 외 지방보조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지방자치단체는 관할 자치단체 내 거주 등 자격조건 부여 가능
2022 전기차 보조금 계산
전기차 보조금 계산을 해볼텐데요. 전기차 보조금에서 알아야 할 점은 국가에서 지급하는 국고보조금과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지자체 보조금 두 가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대상이 된다면 두 가지 모두 받으실 수 있는데요. 국고보조금은 차량가액, 차종에 따라 지원금액이 달라지고, 지자체 보조금은 말 그대로 지자체에 따라 보조금 지급액이 달라집니다.
국고보조금 지급액
■ 차량가액에 따른 국고보조금 지급액
5500만 원 미만 : 전액 지원
5500~8500만 원 : 50% 지원
8500만 원 이상 : 지원 없음
구분 | 5500만 원 미만 | 5500~8500만 원 미만 | 8500만 원 이상 |
승용차 | 700만 원 | 350만 원 | 미지원 |
소형 화물차 | 1400만 원 | 700만 원 | 미지원 |
대형 승합차 | 7000만 원 | 3500만 원 | 미지원 |
■ 차량별 보조금 지급액
아래 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합니다.
지자체별 보조금 지급액
이렇게 다 말씀드렸지만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도 있는데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으로 들어가서 [구매 및 지원] -> [구매보조금 지급현황 확인]을 클릭합니다.
[지자체 차종별 보조금]을 클릭하면 지역별로 차종에 따른 최대 보조금 확인이 가능합니다.
전기차보조금 지자체별 현황 및 신청방법
앞서서 현황을 보시고 구매 여부를 결정하라고 말씀드렸는데요. 앞서 말씀드렸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의 [구매보조금 지급현황 확인]으로 들어가서 확인하면 됩니다. 물론 가장 정확한 것은 지자체별로 연락을 해보는 것이 좋고요.
또한 지자체별로 신청자격, 접수기간 또한 다르니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산의 경우 개인은 신청서 접수일 기준 90일 전부터 부산광역시에 주소를 두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현황을 확인했다면 신청방법은 간단한데요.
먼저 지자체에서 공고를 하면 구매계약 후 자동차 제조,수입사 측에서 먼저 지자체에 구매 지원신청서를 접수합니다. 이 후 대상자 선정이 완료되면 차량 출고 및 등록이 2개월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고, 출고 및 등록된 후 10일 이내에 구매자가 보조금 신청서를 접수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자체에서 보조금을 자동차 제조, 수입사에게 지급하게 됩니다.
즉, 구매자는 이미 차량 구매대금을 낼 때부터 보조금을 차감한 금액을 제조, 수입사에 내는 것입니다.
오늘은 전기차 보조금 계산과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직까지 충전문제나, 금액적인 부분 등 개선해야 하는 문제들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전기차는 막을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엔 기름보단 친환경에너지를 사용하는 방향으로 가기 때문이죠. 전기차를 사시려는 분들은 이 글을 참고하여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댓글